본문 바로가기
오늘의정보

자동차 검사기간 조회 및 예약 방법

by 오늘의이슈99 2023. 4. 18.

오늘은 자동차 검사기간 조회 및 예약 방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를 구매하고 나서 일정 기간이 지나게 되면 의무적으로 검사를 진행해야 하는데 이때 받게 되는 검사는 정기검사, 종합검사를 비롯하여 신규검사, 임시 검사 등등이 있습니다. 오늘은 가장 기본적인 정기검사와 종합검사를 중점적으로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자동차검사

자동차 검사란?

자동차검사는 내가 타고 있는 자동차가 안전한지 배출되는 가스가 허용기준을 준수하는지 등을 점검하여 교통사고와 환경오염을 방지시키며 또한 자동차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책임보험 가입여부를 확인하고 불법으로 튜닝하는 것을 막아 도로 운행 시 주변 사람들에게 불편을 주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이런 자동차 검사의 정류에는 정기검사, 종합검사, 신규검사, 튜닝검사, 임시검사, 수리검사, 이륜차검사, 택시미터 사용검정이 있으며 이 중 정기검사와 종합검사를 우리가 자장 많이 받게 되는데 이 두 검사는 자동차를 소유한 사람은 의무적으로 해야 하는 검사로 유효기간 내에 진행하지 않을 경우 60만 원 이하의 과태료를 처분받게 됩니다.

정기검사 기간

정기검사기간

자동차 정기검사는 자동차 신규 구매 후 일정 기간마다 정기적으로 실시하는 검사로 '자동차관리법'에 따라 등록되고 운행 중인 자동차라면 누구나 받아야 하는 검사 합니다.

 

이 자동차 검사는 자동차의 종류에 따라서 검사 기간이 차이 나게 되는데 기본적으로 비사업용 승용차 및 피견인자동차는 신규 등록 했을 경우네는 최초 등록 4년 이후부터 정기검사를 받아야 하며 이후로는 2년마다 정기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 만약 중고차로 구매하고 이전 차량 소유주가 검사를 받았다면 그 검사 기간에서 2년 후에 받으면 됩니다.

 

사업하는 데 사용하는 영업용 차량의 경우에는 검사 기간 주기가 짧아져 최초 등록 이후 2년 이후에 정기점검을 받아야 하며 이후에는 1년마다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정기검사 유효기간
자동차 정기검사 유효기간

이외에 경형·소형 승합 및 화물자동차, 사업용 대형 화물자동차, 중형 승합자동차 및 사업용 대형 승합자동차, 이외의 자동차들은 차령에 따라 6개월 혹은 1년마다 정기검사를 받아야 하는데 자세한 부분은 표 이미지 참고하시면 됩니다.

종합검사 기간

종합검사기간

자동차 종합검사는 우리나라의 대기가 안 좋은 지역의 대기를 개선시키기 위해 하는 검사로 종합검사 대상지역으로 등록된 지역에서 운행하는 자동차 중 일정 차령이 지난 자동차는 무조건 정기적으로 종합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종합검사의 대상이 되는 지역은 거주하고 있는 인구가 50만 명 이상인 지역으로 대부분의 수도권 및 광역시가 포함되는데 서울의 경우는 전 지역이 종합검사 대상에 포함됩니다.

 

종합검사의 검사 항목은 정기 검사 항목에서 배출가스 정밀검사만 추가가 되기 때문에 정기검사와 종합검사 시기가 중복되는 자동차의 경우 종합검사만 받아도 정기검사도 함께 받은 것이기 때문에 종합검사만 받으셔도 됩니다.

 

 

종합검사 유효기간
자동차 종합검사 유효기간

자동차 종합검사를 받아야 하는 주기는 기본적으로 비사업용 승용차의 경우는 4년이 초과했을 때 2년마다 사업용의 경우에는 2년 초과했을 때 1년마다 받아야 합니다. 또한 비사업용 경형·소형의 승합 및 화물자동차의 경우는 3년 초과 시 1년마다 사업용일 경우 2년 초과 시 1년마다 받아야 합니다. 이외 기타 유형에 대해서는 위에 표를 참고해 주시면 됩니다. 

검사 비용

자동차검사 비용
정기검사, 종합검사 비용

정기검사와 종합검사의 검사 비용은 배기량과 검사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데 여기서 구분되는 자동차 종류는 1000cc 미만은 경형, 1600cc 미만은 소형, 1600cc 이상은 중형, 2000cc 이상은 대형이며 나의 자동차 종류에 따라 검사 금액을 확인하시면 됩니다.

 

 

종합검사에서 부하와 무부하 검사 종류가 보이는데 배출가스를 어떻게 측정하는지에 따라 부하는 정속 주행 상태에서 배출가스를 측정, 무부하는 공회전 상태에서 배출가스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검사기간 조회 및 예약 방법

기본적으로 자동차 검사를 받는 방법은 한국교통안전공단 TS검사소를 이용, 지역 내 교통안전공단에서 지정해 둔 사설 검사소 이용, 검사 대행업체 이용 총 3가지 방법이 있으나 항국교통안전공단 TS검사소를 이용하는 것이 편리하고 할인 혜택도 있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자동차검사 예약하기

 

자동차검사 예약
자동차 검사 예약 페이지

위에 한국교통안정공단 자동차 검사 예약 페이지에 접속하게 되면 검사하려면 항목을 선택하고 진행해 주시면 되는데 이후에는 자동차등록번호와 주민번호 입력 후에 자동차 검사 대상인지 확인, 대상이 확인되면 검사소와 날짜 선택 및 결제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검사기간 안내
내 자동차 검사기간 안내

자동차검사는 앞서 말씀드렸듯이 의무이기 때문에 내가 받아야 하는 기간 내에 받지 않으면 최대 60만 원의 과태료를 내야 하니 내 자동차는 검사 기간이 언제인지 궁금하신 분들 역시 위 한국교통안전공단 자동차검사 페이지에서 내 자동차 정보를 기입하면 검사기간과 예약 가능일을 확인하실 수 있으시니 꼭 확인해 보시길 바라겠습니다. 

 

자동차검사

댓글